불교관련/사찰순례

금산사[모악산 ; 전남 김제]

만사형통 33 2008. 9. 29. 14:52

1. 일자 : 2008년 9월 28일

2. 장소 : 금산사

3. 누구와 : 나홀로

4. 개 요 : 

조선 성종 23년(1492)에 작성된 "금산사 5층석탑 중창기"에 의하면, 금산사는 이미 석가모니 부처님 이전의 가섭불 때에 있었던 옛 절터를 다시 중창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는 금산사의 터전이 오래 전부터 부처님과 인연이 깊었던 것임을 알수 있게 한다.
흔히 통일신라 시기 진표율사에 의하여 창건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엄밀히 따지면 그는 중창자이지 창건주는 아니다.
왜냐하면 "삼국유사"를 비롯한 기록에 의하면, 진표율사는 금산사의 순제법사에게 출가한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진표율사 이전에 이미 금산사가 창건되었음을 알게 한다.
남아있는 "금산사사적"의 기록에 의하여 금산사가 백제 법왕 1년인 599년에 창건되었음을 알수 있다.
이후 금산사의 모습이 크게 부각된 것은 통일신라 시기 경덕왕때 진표율사에 의한 중창 때문이다.
금산사에서 숭제법사의 가르침을 받아 수행을 하던 진표율사는 27세 때에 변산 부사의암(不思議庵)에서 철저한 수행에 전념하였다. 17년 간을 몸을 돌보지 않는 망신참의 고행을 통하여 마침내 미륵보살과 지장보살로부터 간자와 계본을 전해 받게 된다.
이후 진표율사는 금산사로 다시 돌아와 금산사의 중창불사를 발원하고, 경덕왕과 왕실의 후원을 받아 6년에 걸쳐 가람을 대규모로 일으켜 세웠다. 이 때가 경덕왕 21년인 762년부터 혜공왕 2년인 766년에 이르는 기간이었다.
금산사의 창건과 관련하여 "금산사사적"의 내용을 근거로 불 때 599년 백제 법왕의 자복사찰로 창건되었으며, 이 후 진표율사에 의한 6년여의 중창으로 사찰다운 모습을 갖추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금산사가 미륵신앙의 성지로 자리 메김 한 것은 진표율사 때부터이다.
전라북도 김제시(金堤市) 금산면(金山面) 금산리(金山里)에 있는 절. 599년(백제 법왕 1)에 창건했다고 하나 확실하지 않고, 766년(신라 혜공왕 2)에 진표율사(眞表律師)가 중건했다. 1598년 임진왜란 때 불타고, 현재의 건물은 1626년(인조 4)에 재건된 것이다. 이 절은 935년 후백제의 신검(神劍)이 그의 아버지 견훤을 가두었던 곳으로 유명하며 신라 법상종(法相宗)의 근본도량(根本道場)이었다. 경내에는 국보 제62호로 지정된 미륵전(彌勒殿)을 비롯하여 보물로 지정된 석련대(石蓮臺)·석종(石鐘)·오층석탑(五層石塔)·육각다층석탑(六角多層石塔)·혜덕왕사진응탑비(慧德王師眞應塔碑) 등이 있다.

5. 사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