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산행일자 : 2009. 7. 5(일요일)
2.산행코스 : 안생달[전통주 공장 9:18]-송전탑[9:45}-차갓재[9:53]-작은차갓재-공터:헬기장[10:14]-정상[11:38]-배창골 갈림길 위 안부[11:49~12:19 중식 & 휴식]-감투봉[12:32~42]-배창골갈림길[12:53]-전통주 공장[2:00]
3.시간 : 09시18분~14시00분(총 4시 42분간: 중식 & 휴식시간포함)
황장산은 백두대간이 저수재와 벌재를 지나며 문수봉으로 이어지는 중간,문경군 동로면 오지에서 솟아오른 큰산이다.
황장산은 문헌별로 황장산,작성산,황장봉산으로 각각이며 마을 사람들은 질 좋은 황장목이 많다고 하여 황장산이라 부른다.
고려 공민왕때 비빈과 상궁들의 피신처가 되기도 하였던 문암골 깊은 계곡은 넓은 반석과 폭포 및 담소로 어우려져 매우 아름다운 자태를 가지고 있으며, 작성산성의 이끼 낀 돌문이 남아있다.
능선에는 촛대같이 서있는 투구봉을 위시해서 봉우리가 유난히 많고, 능선 남쪽과 동쪽면은 깎아지른 절벽으로 아찔한 곳이 많아 주의를 요하고, 정상에서 전망도 아주 좋은 산중의 하나이다.
4.산행인원 : 병호님. 정원님. 그리고 집사람이랑
5.산행지도 6.황장산 [黃腸山] 1,077.4m ♣ 황장봉산(작성산 1,077m)은 경북 문경시 동로면 생달리에 위치한 백두대간 상의 산이다. 정상을 중심으로 북서릉과 남동릉이 대체로 함준한 암릉으로 이어져 있다. 이 산은 문경군지에는 황장봉산으로 표기되어 있고, 5만분의 1 지형도에는 황정산으로 표기되어 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작성산이라고 부름이 옿다고 하고있다.황장산은 백두대간이 저수재와 벌재를 지나며 문수봉으로 이어지는 중간,문경군 동로면 오지에서 솟아오른 큰산이다.
황장산은 문헌별로 황장산,작성산,황장봉산으로 각각이며 마을 사람들은 질 좋은 황장목이 많다고 하여 황장산이라 부른다.
고려 공민왕때 비빈과 상궁들의 피신처가 되기도 하였던 문암골 깊은 계곡은 넓은 반석과 폭포 및 담소로 어우려져 매우 아름다운 자태를 가지고 있으며, 작성산성의 이끼 낀 돌문이 남아있다.
능선에는 촛대같이 서있는 투구봉을 위시해서 봉우리가 유난히 많고, 능선 남쪽과 동쪽면은 깎아지른 절벽으로 아찔한 곳이 많아 주의를 요하고, 정상에서 전망도 아주 좋은 산중의 하나이다.
산림청 선정 100 명산 선정사유
o 울창한 산림이 암벽과 어우러져 경관이 아름다우며 황장목이 유명하고 조선시대 봉산 표지석이 있는 등 경관 및 산림문화적 측면을 고려하여 선정
o 동국여지승람, 대동지지, 예천군 읍지 등에는 작성산으로 표기
7. 사진
안생달 좌측도로가 등산 초입
능선의 송전탑-백두대간길
차갓재
공터-헬기장
가야할 황장산 정상부
올라온 길을 뒤돌아보니 송전답도 보이고
정상부
밧줄도 오르고
도락산
위험구간
하산길 배창골 갈림길-감투봉 갔다 다시 돌라옴
갈림길위 봉우리에서 중식
감투봉
황장산 암릉구간
감투봉에서
감투봉
배창골
복분자도 수확하고
전통주 공장으로
황장산 정상부
'산과 여행 > 2009 산행 &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0726 금오산[칠곡] 금오동천 (0) | 2009.07.29 |
---|---|
090712 금대봉 (0) | 2009.07.13 |
090628 거조암과 치산계곡 (0) | 2009.06.30 |
090620 남지장사 (0) | 2009.06.21 |
090614 도락산-2 (0) | 2009.06.16 |